목록SW 개발/Python (44)
DATA101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이썬에서 리스트 내 1개 이상의 특정 원소를 찾아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해 드립니다. 삭제할 원소가 1개냐 2개 이상이냐에 따라 코드 작성 방법이 다르므로 각각 나누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원소 1개 삭제 방법 1개의 원소를 삭제하는 방법은 간단히 remove()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 기본 리스트 arr = [5, 7, 1, 1, 2, 6, 1, 6, 7] print(arr) # [5, 7, 1, 1, 2, 6, 1, 6, 7] # 원소 1을 1개 삭제 arr.remove(1) print(arr) # [5, 7, 1, 2, 6, 1, 6, 7] 위와 같이 리스트에서 1에 해당하는 원소 1개만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개 이상의 원소 모두 삭제 방법 다음으로..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스트(list) 데이터 타입에 유용한 함수로서 append(), sort(), reverse(), insert(), count(), remove()에 대해 소개해 드립니다. 내용이 간단하니 아래 표와 예시를 참고해 주세요! 표 사용목적 및 설명 메서드 시간 복잡도 데이터 추가(맨 뒤에서부터 추가) 리스트 이름.append(추가할 데이터) \(O(1)\) 데이터 정렬(오름차순 정렬) 리스트 이름.sort() \(O(NlogN)\) 데이터 정렬(내림차순 정렬) 리스트 이름.sort(reverse = True) \(O(NlogN)\) 리스트 내 원소 순서 뒤집기 리스트 이름.reverse() \(O(N)\) 특정 인덱스에 원소 삽입 리스트 이름.insert(삽입할 위치의 인덱스, 삽입할 ..

간단한 내용이므로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죠! 1. 정의 및 특징 리스트 컴프리헨션(comprehension)은 리스트를 초기화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 대괄호('[]') 안에 조건문이나 반복문을 넣는 방식으로 리스트를 초기화하는 방식입니다. 리스트 컴프리헨션은 필요한 리스트를 생성할 때 보다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아래 예시와 함께 살펴보죠. 2. 예시1: 일반적인 리스트 생성 방법과 비교 예시로서 간단하게 1부터 100까지의 정수 중에서 짝수만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해 보겠습니다. 특히 반복문과 조건문을 각각 나누어 사용하여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과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일반적인 방법 먼저, 리스트를 직접 생성하고, 반복문을 수행하고 그 안에서 조건문을 수행..

오늘은 파이썬 내장 함수인 sorted()와 sort()를 활용한 데이터 정렬 방법에 대해 공유해 드립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죠! 목차 1. 기본 정렬 라이브러리 2. sorted 함수 3. sort 함수 4. key 매개변수를 활용한 정렬 기준 설정 5. 정렬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 1. 기본 정렬 라이브러리 파이썬에는 sorted 및 sort라는 정렬 함수가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 함수들은 리스트, 딕셔너리, 집합 등의 데이터 타입을 입력값으로 받고, 데이터 타입에 상관없이 항상 리스트 형태로 데이터를 정렬한 결과를 반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이 함수들은 최악의 경우에도 O(N*log N) 의 시간 복잡도를 보장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럼 sorted 함수와 sort 함수 각각에..

오늘은 reduce 함수에 대해 알아봅니다. reduce 함수와 람다 표현식을 함께 사용하면 코드를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람다 표현식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heytech.tistory.com/17 [파이썬] lambda 함수는 언제, 어떻게 쓸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이썬 람다(lambda)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시작하죠! 1. Lambda 함수는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 파이썬에서 특정 기능을 구현하고 반복적으로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heytech.tistory.com reduce 함수란? reduce 함수는 *반복 가능한 객체(iterable object) 내 각 요소를 연산한 뒤 이전 연산 결과들과 누적해서 반환해 주는 함수입니다. *..

오늘은 filter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람다(lambda) 표현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filter 함수 함수는 람다 표현식과 함께 사용하시면 코드를 더욱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람다 표현식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heytech.tistory.com/17 filter 함수란? filter 함수는 단어 의미 그대로 *반복 가능한 객체에서 특정 조건에 참인 요소에만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입니다. *반복 가능한 객체(iterable object)란? 말 그대로 반복이 가능한 객체로서 요소가 하나의 객체에 여러 개가 들어있고, 한 번에 하나의 요소씩 사용할 수 있는 객체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는 문자열(string), 리스트(list), 딕셔너..

map 함수란? map 함수는 *반복 가능한 객체(iterable object)를 입력받고 각 요소에 연산을 수행(맵핑, mapping)하는 함수입니다. *반복 가능한 객체(iterable object)란 말 그대로 반복이 가능한 객체로서 요소가 하나의 객체에 여러 개가 들어있고, 한 번에 하나의 요소씩 사용할 수 있는 객체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는 문자열(string), 리스트(list), 딕셔너리(dictionary), 세트(set)가 있습니다. 연습 문제 Q1. 리스트에 1부터 10까지의 정수가 담겼을 때 각 요소별 제곱 값을 따로 리스트에 저장하여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하시오. (1) map 함수를 사용하지 않은 코드 # 입력된 값을 제곱하여 리턴하는 함수 def square_function(n):..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피터 노트북의 유용한 단축키를 공유해 드립니다.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단축키 설명 a 위에 셀 추가하기 b 아래에 셀 추가하기 dd (2번) 해당 셀 삭제하기 c 해당 셀 복사하기 x 해당 셀 잘라내기 v 선택 셀 아래에 붙여넣기 shift + m (MacOS: ⬆️ + m) 선택 셀과 아래에 있는 셀 합치기 (병합) o 코드 실행 결과 펼치기/접기 y 해당 셀을 코드 입력 모드로 변경 m 해당 셀을 markdown 입력 모드로 변경 ctrl(cmd) + s 주피터 노트북 파일 저장 ESC 명령 입력 모드로 전환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 고맙습니다.